티스토리 뷰
목차
민방위교육은 교육장에 나가지 않고 온라인으로 대신 받을 수 있습니다. 3년 차 민방위 대상자라면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민방위 사이버교육을 통해 교육을 이수할 수 있습니다. 나의 민방위 연차 조회와 사이버 교육 수강절차, 면제 대상자는 어떻게 되는지 민방위 사이버교육 신청 조회방법을 통해 확인하실 바랍니다.
1. 민방위 연차에 따른 교육 유형과 시간 차이
민방위 대원으로 편성된 뒤, 연차가 쌓일수록 교육의 형식과 시간이 달라집니다. 지금 본인의 연차가 몇 년 차인지에 따라 아래 내용을 참고하세요.
1~2년 차: 오프라인 집합교육 총 4시간
3~4년 차: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사이버교육 2시간
5년 차 이후: 사이버교육 1시간만 이수
민방위는 나이도 중요! 2024년 기준 나이 제한
연차보다 더 중요한 건 바로 ‘연령 조건’입니다. 민방위는 만 40세까지 교육 대상자에 포함되므로, 단순히 연차만으로는 끝이 아닙니다.
2024년 기준 출생연도: 1984년생까지는 모두 민방위 대상
생일이 이미 지났더라도 포함됨: 생일 유무와 무관하게 출생연도 기준
그러니 본인의 출생연도와 생일 여부를 확인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2. 민방위 연차 조회 및 사이버교육 수강 절차
사이버교육은 클릭 몇 번으로 연차 확인부터 수강까지 가능합니다.
다음 절차에 따라 진행하시면 됩니다.
1. 포털에 ‘민방위 사이버교육’을 검색
2. 본인의 거주지 관할 사이트로 접속
3. ‘교육 시작하기’ 또는 ‘사이버교육 수강’ 버튼 클릭
4. 지역 선택 → 이름 및 생년월일 입력 → 대원 로그인
5. 카카오, 네이버, 휴대폰 중 하나로 본인 인증
6. 로그인 후 연차 확인 가능. 이후 ‘교육 보기’ 클릭
7. 수강 중간 저장을 위한 비밀번호 4자리 설정
8. 영상 시청 중 화면 이탈 시 시간 미인정 주의!
3. 민방위 면제 또는 유예 대상자 기준은?
모든 남성이 민방위 교육을 받는 건 아닙니다. 다음 조건에 해당한다면 예외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공무원: 소속기관을 통해 민방위 편성 제외 신청 가능
해외 거주자:
3개월 미만 체류: 교육 유예 신청 가능
3개월 이상 체류: 면제 신청 가능
관련 서류를 준비하여 주민센터에 방문 접수 면제 대상인 경우, 단순 온라인 신청이 불가하니 행정복지센터를 직접 방문해 서류 제출을 해야 합니다.